극한의 좁은 공간에서 변신하는 빛 포착
빛을 제어할 수 있는 제3의 방법에 대한 실험적 관찰, 사이언스지 게재
□ 우주 탄생 당시부터 존재하던 빛. 빛을 제어하려는 인류의 노력이 광통신, GPS, 의료용 내시경, 태양전지, 광센서, 광스위치 등 산업 전반에서 결실을 낳고 있는 가운데 빛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실험적 증거가 나왔다.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박홍규 교수(고려대학교 물리학과)와 키브샤(Kivshar) 교수(호주국립대) 연구팀이 나노실린더 구조에 빛을 가둬 빛의 색깔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는 광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 빛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광섬유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전반사나 광결정에서 나타나는 특정 파장 빛의 반사, 두 가지가 전부였다.
○ 21세기 들어서야 아주 작은 나노구조에 빛을 집속시켜 빛을 제어하고 빛의 파장을 바꾸는 제3의 방법이 이론적으로 제안 되었지만 이를 입증하는 실험적 결과는 없었다.
□ 연구팀은 머리카락보다 백 배 가느다란 나노실린더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가두자 적외선이 아닌,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 출력되는 현상을 직접 관측했다.
○ 붉은 빛이 극한의 좁은 공간에 갇히면 청색의 빛으로 빠져나오는 빛의 비선형성을 강화시킨 결과이다. 입사한 빛을 다양한 다른 색깔(파장)의 빛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실제 확인한 것이다.
□ 나노실린더 구조와 크기를 최적화하고 입사되는 빛을 도넛 모양으로 만들어 파장변환이 극명하게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실험적인 관찰이 가능했다.
○ 약한 빛이 입사하더라도 나노실린더를 이루는 화합물 반도체 (AlGaAs)와 강하게 상호작용하면서 빛의 파장변환 효율이 크게 높아지도록 설계한 것이다.
□ 실제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광소자를 이용한 결과 기존 나노구조체 대비 빛의 파장변환 효율을 100배 이상 높일 수 있었다.
○ 작은 공간에 빛을 가둔다는 측면에서 광소자와 레이저의 동작 원리가 같은 만큼 연구팀은 향후 나노실린더 구조를 활용한 나노레이저 연구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본 연구성과는 향후 빛 알갱이 하나의 색깔까지 바꿔서 양자 암호 통신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지원사업 (리더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1월 17일 게재되었다.
<언론에 보도된 기사 링크>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연번 |
매체명 |
기사제목 |
1 |
조선비즈 |
|
2 |
아이뉴스24 |
|
3 |
한국대학신문 |
|
4 |
베리타스알파 |
|
5 |
이데일리 |
|
6 |
연합뉴스 |
|
7 |
파이낸셜뉴스 |
|
8 |
뉴스1 |
|
9 |
동아사이언스 |
|
10 |
아시아뉴스통신 |
|
11 |
로이슈 |
|
12 |
위키트리 |
|
13 |
녹색경제신문 |
|
14 |
뉴스웍스 |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