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반복되는 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연장하기

[거대과학연구개발사업 > 국제핵융합실험로(ITER)공동개발사업]

사업개요

사업목적
  • 7개 참여국(한국, EU, 일본, 미국, 중국, 인도, 러시아)이 공동으로 ITER 건설·운영에 참여하여 2050년대 핵융합에너지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 확보
    • ※ (ITER 사업) 핵융합 반응을 통해 대용량 전기 생산가능성을 공학적으로 실증하기 위한 500MW급 핵융합 건설에 우리나라가 9.09%의 지분을 가지고 참여
      * ITER(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사업기간
  • 사업기간: ‘04.2.1~’25.12.31 (ITER 건설 ~‘25, 이후 운영‧실험)
    ※ 준비단계: 2004.2.1.~2008.1.31./ 1단계: 2008.2.1.~2012.1.31./ 2단계: 2012.2.1.~2021.12.31.
사업내용
  • 총사업비 : 16,432억원 (현물제작+현금분담)
    ※ ITER 장치개발·제작 및 현금분담금 등의 기준이며, ‘12년 이후 핵융합(연)으로 이관, 수행 중인 “ITER 핵심기술개발 및 운영·관리사업” 미포함(1,456억원)
  • 지원분야 : 핵융합로 건설에 필요한 핵심기술 확보 및 우리나라에 할당된 9개 ITER 조달품목*을 제작·조달
    * 초전도 도체(’14.12 조달완료),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조립장비류, 열차폐체, 전원공급장치, 삼중수소 저장·공급시스템, 진단장치
  • 사업규모 : 열출력 500MW, 에너지증폭율(Q) 10 이상의 ITER 건설·운영에 필요한 한국 조달품목 개발․제작 및 현금분담금 납부 등
  • 사업시행방법 : 출연
  • 사업시행주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업 수혜자 : 산·학·연
지원대상
  • ITER 한국사업단

중점 추진내용

  • (현금분담금 등) 7개 참여국 간의 국제조약(ITER 공동이행협정)에 따라 ITER 기구 운영 등을 위한 현금분담금 납부이행, 운송관리 및 조달완료 품목 기술관리
  • (장치개발․제작) 7개 참여국 간의 국제조약 및 ITER 건설일정에 따라 우리나라 할당 조달품목별 제작·시험·운송 등을 고려한 장치 설계․제작․운송
    ※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열차폐체, 삼중수소, 전원공급장치, 진단장치 등

추진일정

  • 2021. 1. : 사업계획 수립 및 협약체결(과기정통부 및 산업통상자원부), 협약체결 및 사업비 교부
  • 2021. 4. : ITER사업 추진점검단 사업추진현황 점검(제16차)
  • 2021. 7. : ITER사업 추진점검단 사업추진현황 점검(제17차)
  • 2021. 10. : ITER사업 추진점검단 사업추진현황 점검(제18차)
  • 2021.12 : 2021년도 과제종료(최종평가) 및 2022년도 신규과제 평가 준비
  • ※ 정부 및 연구재단의 추진일정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투자계획
구분 2019년 이전

2020년

(A)

2021년

(B)

합계 비고
과기부 일반회계 307,864 - - 307,864 계속과제 1
원자력기금 272,455 47,226 67,100 386,781
산업부 342,480 45,374 64,400 452,254
합계 922,799 92,600 131,500 1,146,899  
·

콘텐츠 관리

  • 담당부서
    원자력단
  • 담당자
    서정원
  • 전화번호
    042-869-7848
콘텐츠 만족도평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5점 4점 3점 2점 1점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