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개요
사업목적
- 7개 참여국(한국, EU, 일본, 미국, 중국, 인도, 러시아)이 공동으로 ITER 건설·운영에 참여하여 2050년대 핵융합에너지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 확보
- ※ (ITER 사업) 핵융합 반응을 통해 대용량 전기 생산가능성을 공학적으로 실증하기 위한 500MW급 핵융합 건설에 우리나라가 9.09%의 지분을 가지고 참여
* ITER(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 ※ (ITER 사업) 핵융합 반응을 통해 대용량 전기 생산가능성을 공학적으로 실증하기 위한 500MW급 핵융합 건설에 우리나라가 9.09%의 지분을 가지고 참여
사업기간
- 사업기간: ‘04.2.1~’25.12.31 (ITER 건설 ~‘25, 이후 운영‧실험)
※ 준비단계: 2004.2.1.~2008.1.31./ 1단계: 2008.2.1.~2012.1.31./ 2단계: 2012.2.1.~2021.12.31.
사업내용
- 총사업비 : 16,432억원 (현물제작+현금분담)
※ ITER 장치개발·제작 및 현금분담금 등의 기준이며, ‘12년 이후 핵융합(연)으로 이관, 수행 중인 “ITER 핵심기술개발 및 운영·관리사업” 미포함(1,456억원) - 지원분야 : 핵융합로 건설에 필요한 핵심기술 확보 및 우리나라에 할당된 9개 ITER 조달품목*을 제작·조달
* 초전도 도체(’14.12 조달완료),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조립장비류, 열차폐체, 전원공급장치, 삼중수소 저장·공급시스템, 진단장치 - 사업규모 : 열출력 500MW, 에너지증폭율(Q) 10 이상의 ITER 건설·운영에 필요한 한국 조달품목 개발․제작 및 현금분담금 납부 등
- 사업시행방법 : 출연
- 사업시행주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업 수혜자 : 산·학·연
지원대상
- ITER 한국사업단
중점 추진내용
- (현금분담금 등) 7개 참여국 간의 국제조약(ITER 공동이행협정)에 따라 ITER 기구 운영 등을 위한 현금분담금 납부이행, 운송관리 및 조달완료 품목 기술관리
- (장치개발․제작) 7개 참여국 간의 국제조약 및 ITER 건설일정에 따라 우리나라 할당 조달품목별 제작·시험·운송 등을 고려한 장치 설계․제작․운송
※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열차폐체, 삼중수소, 전원공급장치, 진단장치 등
추진일정
- 2021. 1. : 사업계획 수립 및 협약체결(과기정통부 및 산업통상자원부), 협약체결 및 사업비 교부
- 2021. 4. : ITER사업 추진점검단 사업추진현황 점검(제16차)
- 2021. 7. : ITER사업 추진점검단 사업추진현황 점검(제17차)
- 2021. 10. : ITER사업 추진점검단 사업추진현황 점검(제18차)
- 2021.12 : 2021년도 과제종료(최종평가) 및 2022년도 신규과제 평가 준비
- ※ 정부 및 연구재단의 추진일정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분 | 2019년 이전 |
2020년 (A) |
2021년 (B) |
합계 | 비고 | |
---|---|---|---|---|---|---|
과기부 | 일반회계 | 307,864 | - | - | 307,864 | 계속과제 1 |
원자력기금 | 272,455 | 47,226 | 67,100 | 386,781 | ||
산업부 | 342,480 | 45,374 | 64,400 | 452,254 | ||
합계 | 922,799 | 92,600 | 131,500 | 1,146,8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