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반복되는 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연장하기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 > 기반구축사업 > 기초연구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구축]

사업 내용

기초연구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GSDC)구축 내용
사업 사업목적 연간 연구비 지원기간
기초연구 실험데이터 글로벌허브구축 첨단 연구 장비, 거대 관측 장비 및 모의실험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실험데이터의 공유․분석 환경 및 컴퓨팅 인프라 지원 32억 내외 3년 (계속)

추진체계(2023년 기준)

 

지원규모(2023년 기준)

기초연구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GSDC)구축 지원규모
사업 신규과제 계속과제 합계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기초연구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구축 - - 1 3,020 1 3,020

주요 성과(2022년 기준)

기초연구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GSDC)구축 실험내용
실험명 참여규모 주요 실험 내용
CMS검출기실험
(스위스 CERN)
(국제) 55개국 239개 기관, 5,400여 명 참여
(국내) 10개 대학, 122명
  •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존재와 힘의 근원으로 힉스 입자, 암흑 물질 등 근본적인 물리 현상 탐색
ALICE검출기실험
(스위스 CERN)
(국제) 40개국 175개 기관, 2,000명 참여
(국내) 8개 대학, 50여명
  • 납과 같은 중이온을 충돌시켜 빅뱅과 유사한 상태를 재현하고, 빅뱅 직후 생성된 물질의 상태 연구
Belle Ⅱ
(일본 KEK)
(국제) 25개국 107개 기관, 800명 참여
(국내) 9개 기관, 40여명
  • B 중간자 붕괴현상, 무리쿼크 등 새로운 입자의 발견, 우주 구성 물질 및 기원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실험에서 발생하는 대량 데이터 분석·저장
중력파
(미국 LIGO)
(국제) 18개국, 109개 기관, 1,300여 명
(국내) 11개 대학, 4개 연구소, 40여 명
  • 블랙홀, 중성자별 충돌 등 천체현상에서 발생하는 중력파를 지상에서 검출하는 실험
RENO (국내) 5개 대학, 40여명 참여
  •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 검출시설
유전체 (국내) 서울대, 이화여대, 숭실대, 국립암센터, 삼성서울병원 등 산학연 80여 명
  • 차세대 개인별 맞춤 치료를 위한 유전체 데이터 분석
  • 암의 특성을 갖는 유전적 기전의 규명, 유전학 정보를 바탕으로 한 조기진단, 정확한 치료 용량의 결정 등에 활용하기 위한 유전체 정보 분석
전자현미경 (국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KAIST 등 8개 연구그룹 80여 명
  •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활용한 차세대 기능성 에너지 소재 탐색‧발굴 및 개발
  • 질환 치료 타겟형 바이오 물질 발굴 및 기작 규명
포항방사광가속기 (국내) 6개 대학, 1개 연구소, 80명 참여
  • 전자가 자기장 속을 지날 때 휘어지면서 접선방향으로 빛(광자)을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
  • 활용 분야: 구조생물학, 재료, 나노, 화학, 의료 등
·

콘텐츠 관리

  • 담당부서
    집단연구지원팀
  • 담당자
    황지영
  • 전화번호
    042-869-6825
콘텐츠 만족도평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5점 4점 3점 2점 1점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