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목적
-
인문사회분야 학문후속세대 연구자들이 단절 없는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는 연구안전망을 구축하여 혁신성장의 근간인 학술연구의 토대 강화
-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인하여 늘어나는 대학 밖 비전임 연구자들이 연구 및 교육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
'23년 중점 추진 방향
-
가. 대학 밖 연구자도 지원 대상에 포함 (대학의 추천‧승인을 받지 않아도 신청 가능)
- 나. 국내외 석사학위를 소지한 연구자에게 연구활동 확대 지원
- 다. 평가 일원화를 통해 우수과제 선정 가능성을 제고하고, 제출 서류 간소화 및 연구자 부담 완화 등을 위해 신청 트랙 일원화
-
라. 출산의 이유로 경력단절 중인 인문사회분야 여성 연구자들에 대한 업적 산정 기간 확대
-
마. 교육부 및 연구재단 우수성과과제의 연구자 신청 시 가산점을 부여함으로써 우수성과자 우대 및 우수성과 창출 도모
(우수성과 선정일로부터 3년 이내('20 ~ '22, 총 1회 한정)
-
바. 연구의 창의성 및 연구계획의 우수성을 중심으로 평가
사. 본 사업의 경우, 연구노트는 연차보고서 또는 단계보고서, 최종보고서 등으로 갈음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 제8조)
지원예산
구 분 | 예산액 (백만원) | 지원예정 과제수 | 비고 | |
---|---|---|---|---|
B유형 (단기) |
트랙 일원화 (트랙 구분 없음) |
45,300 |
2,150 내외 |
|
지원분야
-
지원분야 : 인문사회분야 (예술ㆍ체육학 포함)
※편람, 사전편찬, 교재개발, 번역, 전람회, 연주회 등을 위한 과제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
신청자격 및 주관연구기관
-
신청자격
- (학위) 국내ㆍ외 대학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중 국내 국적 소지자- (연령) 만 64세 이하 ('58.1.1. 이후 출생자)
- (연구 업적) 최근 5년 내('18.1.1 이후) 연구업적 1편 이상
※ 최근 5년내 출산 경험이 있는 경우, 최근 8년 내('15.1.1. 이후) 연구업적 1편 이상
- (취업 여부) 취업자(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미취업자 신청 가능. 단, 취업자(건강보험직장가입자)의 경우 해당 사업장에서 퇴직 필요 - ※ 해외 체류 및 거주자는 신청 및 연구비 수혜가 불가(과제 수행기간 중에는 국내에 거주하여야 함)
-
주관연구기관
※ 주관연구기관별 과제 신청수 제한 없음
- (원칙) 국내 대학(고등교육법 또는 개별법에 의해 설립된 고등교육기관)을 주관연구기관으로 하여 과제 신청
- (예외) 국내 대학을 통해 신청하기 곤란한 연구자는 한국연구재단에 직접 과제 신청 가능
※ 한국연구재단에 직접 신청한 연구자가 선정될 경우, 해당 연구자의 주관연구기관을 별도 위탁 지정
※ 대학을 통해 신청하지 않더라도 평가상 불이익 없음
지원금액 및 지원기간
- 지원 금액
지원 금액 구분 연구책임자 지원액 (천 원) 간접비 (천 원)
(주관연구기관 지원액)
과제당 지원액합계 (천 원) B유형 (단기) (연구활동수당) 19,000 1,000 이내 20,000 이내 - 지원 기간
지원 금액 구분 지원기간(연구기간) 비고 B 유형 (단기)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