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목적
- 첨단기술 융합 및 안전기술 혁신을 통해 기후변화 등 증가하는 위험에 대비하고 국민이 안심할 수준의 장기운영 안전성 확보
중점 추진내용
- 과기부, 산업부 공동 추진사업으로 국가 재난안전 관리체계 및 원전 안전 분야의 사고 단계를 고려 “예측→예방·대비→대응”의 3대 영역으로 안전 혁신기술 개발
- (고장/사고 최소화를 위한 혁신 예측 기술) 고장‧사고 최소화를 위한 지능형 감시‧진단‧예측 기술을 개발하여 가동원전 이상 징후를 조기에 파악
- (사고확대 예방을 위한 혁신안전기술) 사고확대 예방‧대비를 위한 혁신 안전기술을 개발하여 예방책을 마련함으로써 원전사고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
- (사고완화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기술) 만일의 사고에 의해 방사성 물질이 원자로에서 누출되더라도 격납건물 내에서 피해완화 및 환경전파를 최소화
추진 일정
- 2023. 12. : 계속과제 연차보고서 접수
- * 해당 일정은 추진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내역사업 | 2022년 (A) |
2023년 | 증감(B-A) | |||
---|---|---|---|---|---|---|
계(B) | 계속 | 신규 | 금액 | % | ||
계 | 34,569 | 44,100 | 44,100 | - | 9,531 | 21.6 |
고장/사고 최소화를 위한 혁신예측기술 | 8,550 | 10,890 | 10,890 | - | 2,340 | 21.5 |
사고확대 예방을 위한 혁신안전기술 | 16,650 | 20,880 | 20,880 | - | 4,230 | 20.3 |
사고완화 및 피해최소화를 위한 대응기술 | 9,369 | 12,330 | 12,330 | - | 2,961 | 24.0 |
*’23년은 계속과제만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