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근거 및 경과
추진근거
한국연구재단법 제15조 및 한국연구재단법 시행령 제7조
한국연구재단 정관 제5장 및 연구사업관리제도 운영규정 등
주요 추진경과
-
2025.07전문위원 증원(1,002명→1,202명)
-
2025.03국가전략연구본부 거대인프라·방사선 PM 신설
-
2024.12우주기술 PM 및 전문위원 분야 삭제에 따라 상근 PM(25명⇒24명) 및 전문위원 감원(1,030명⇒1,002명)
-
2024.07전문위원 증원 전문위원 증원(1,021명⇒1,030명)
-
2023.09전문위원 증원 (1,009명⇒1,020명)
-
2023.06한계도전전략센터(‘23.4월 신설) 책임 PM 도입(3명)
-
2022.07전문위원 증원 (999명⇒1,009명)
-
2021.05전문위원 증원(972명⇒999명)
-
2020.04전문위원 증원(926명⇒972명)
-
2019.06전문위원 증원(830명⇒926명)
-
2018.08전문위원 증원(657명⇒830명)
-
2017.08국책연구본부 전문위원 제도 운영 및 분야 개편(118명)
-
2013.08국책연구본부 PM조직 개 편(전문분야 확대 5개⇒9개)
-
2012.05책임전문위원 제도 도입 및 전문위원 규모 확대(512명) 등
-
2010.05전문위원 분야 구성 및 선임(236명)
-
2009.12PM 제도 운영 추진계획 수립
-
2009.07연구사업관리제도 운영 규정 등 제정
-
2009.03한국연구재단법 제정
운영체계
PM 구성 및 역할
PM 자격요건
본부장 자격요건
해당 본부 소관 학문(기술)분야에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탁월한 전문성과 소관사업에 대한 총괄 조정능력을 겸비한
박사학위 소지자로, 해당분야 연구경력 또는 연구행정경력이 20년 이상 이거나
석사학위 소지자로, 해당분야 연구경력 또는 연구행정경력이 25년 이상 인 전문가
센터장·책임PM 자격요건
해당 센터 소관 학문(기술)분야에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탁월한 전문성과 소관사업에 대한 총괄 조정능력을 겸비한
석사학위나 박사학위 소지자로, 연구경력 또는 연구행정경력이 있는 전문가
단장 자격요건
해당 학문(기술)단 소관 학문(기술)분야에 탁월한 전문성과 소관 사업에 대한 사업경영(관리) 능력을 겸비한
박사학위 소지자로, 해당분야 연구경력 또는 연구행정경력이 15년 이상 이거나
석사학위 소지자로, 해당분야 연구경력 또는 연구행정경력이 20년 이상 인 전문가
(책임)전문위원 자격요건
해당 학문(기술)분야의 학문적 수월성을 성취한 자
박사학위 소지자로, 해당분야 연구경력 또는 연구행정경력이 10년 이상 이거나
석사학위 소지자로, 해당분야 연구경력 또는 연구행정경력이 15년 이상 인 전문가
PM 선임절차
본부장 및 단장 선임절차
-
접수 *
-
서류심사
-
면담심사
-
최종선임
(책임)전문위원 선임절차
-
01후보자 풀 구성/요건검토
· 후보자 풀 구성 (PM추천, 학회·단체 추천 등) 및 자격요건 검토
학문단·기술단 -
02후보자 추천
· 후보자 추천 심의위원회 구성·운영 → 후보자 풀 중 분야별 최종 후보자 추천
본부 총괄팀(기초, 인문사회, 국가전략) -
03후보자 적정성/우선순위 검토
· 후보자에 대한 적정성 검토 의견 개진 및 우선순위 검토
PM(단장) -
04선임
· 우선순위 확정 및 선임
이사장
PM 구성 현황
상근 PM현황: 총 25명 (본부장 3명, 단장 22명)
(단위:명)
구분 | 본부장 | 단장 | 계 | 비고 (학문단/분야) |
---|---|---|---|---|
기초연구본부 | 1 | 5 | 6 | 자연과학단, 생명과학단, 의약학단, 공학단, ICT·융합연구단 |
인문사회연구본부 | 1 | 3 | 4 | 인문학단, 사회과학단, 문화융·복합단 |
국가전략연구본부 | 1 | 11 | 12 | 신약/차세대바이오/뇌·첨단의공학/반도체·디스플레이 /나노·소재/정보· 융합기술/양자기술/공공기술/우주기술/에너지·환경/원자력/거대인프라·방사선 |
한계도전전략센터 | - | 3 | 3 | 소재/기후· 에너지/바이오헬스 |
계 | 3 | 22 | 25 | - |
비상근 PM 현황: 총 1,245명 (책임전문위원 43명, 전문위원 1,202명)
기초연구본부
(단위:명)
학문단명 | 책임 전문위원 | 전문위원 | 계 |
---|---|---|---|
자연과학단 | 4 | 100 | 104 |
생명과학단 | 3 | 104 | 107 |
의약학단 | 6 | 162 | 168 |
공학단 | 4 | 99 | 103 |
ICT·융합연구단 | 6 | 126 | 132 |
계 | 23 | 591 | 614 |
인문사회연구본부
(단위:명)
학문단명 | 책임 전문위원 | 전문위원 | 계 |
---|---|---|---|
인문학단 | 6 | 99 | 105 |
사회과학단 | 7 | 84 | 91 |
문화융·복합단 | 7 | 71 | 78 |
계 | 20 | 254 | 274 |
국가전략연구본부
(단위:명)
PM 분야 | 책임 전문위원 | 전문위원 | 계 |
---|---|---|---|
신약 | - | 30 | 30 |
차세대바이오 | - | 43 | 43 |
뇌·첨단의공학 | - | 32 | 32 |
반도체·디스플레이 |
- | 28 | 28 |
나노·소재 |
- | 50 | 50 |
정보·융합기술 | - | 33 | 33 |
양자기술 | - | 23 | 23 |
공공기술 | - | 25 | 25 |
에너지·환경 | - | 45 | 45 |
원자력 | - | 24 | 24 |
거대인프라 방사선 | - | 21 | 21 |
기술사업화 | - | 3 | 3 |
계 | - | 357 | 357 |
업무절차별 PM 역할
-
01계획수립·
평가단계별 추진계획 수립
(평가방법, 예산배분, 선정규모 등 계획 수립)단장 -
02패널 구성
· 신청과제의 패널 구성 및 RB분야별 필요 평가자 수 결정
사례별 담당 주체전문위원1개 패널 내 1개 RB분야책임 전문위원1개 패널 내 1개 CRB분야
(2개 이상의 RB분야로 구성)단장1개 패널 내 2개 이상의 CRB분야(책임)전문위원·단장 -
03평가후보자 추천
· 복수의 전문위원이 2~3배수 무순위 추천
전문위원 -
04평가후보군 구성
· 3배수를 중심으로 가,나,다 군 구성
사례별 담당 주체책임 전문위원1개 패널 내 1개 RB분야1개 패널 내 1개 CRB분야
(2개 이상의 RB분야로 구성)단장1개 패널 내 2개 이상의 CRB분야책임전문위원·단장 -
05평가후보군 우선순위 결정
· 가,나,다 군 중 평가자 섭외순서 지정
사례별 담당 주체단장1개 패널 내 1개 RB분야1개 패널 내 1개 CRB분야
(2개 이상의 RB분야로 구성)본부장1개 패널 내 2개 이상의 CRB분야단장·본부장 -
06평가자 확정
· 평가군 순서대로 평가자 섭외 : PO·직원
평가자 확정 결재 : 본부장 전결본부장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