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반복되는 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

사업별 세부 내용은 당해연도 공고문 및 신청요강 등 참조

 (Q&A 게시판을 통한) 질의사항 등록 등은 세부사업별 게시판을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초연구사업 역할

 ○ 기초연구는 새로운 지식 창출창의적 인력양성을 통해 국가 경쟁력근본 원천과학적 기초(Scientific Base)’를 제공

 

관련 규정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 「학술진흥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사업 구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사업(개인연구)

사 업 명

사업 목적 및 특성

지원 대상

연구기간

연간 연구비

(간접비 포함)

 

글로벌 리더연구

미래의 독자적 과학기술과 신기술 개발을 위해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연구자의 심화연구 집중 지원

(글로벌 협력을 지향)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연구원

9년
(3+3+3)

연 8억원 내외


유형2(글로벌형)

글로벌 리더연구자로의 성장·도약 및 혁신적 성과 창출을 위해

우수한 연구자의 창의적 연구를 체계적으로 지원

(글로벌 협력을 지향)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연구원

1~3년

4년(3+1)

5년(3+2)

연 4억원 내외

유형1

창의성 높은 개인연구를 지원하여 우수한 기초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리더연구자로의 성장 발판 마련

연 2.5억원 내외

(글로벌 협력 시

최대 0.5억원 추가지원)

창의연구형

다양한 분야 우수한 연구자의 필요 최소 규모를 충족하는

소규모 연구 지원

1~3년

연 0.7억원 내외

도약형

우수한 성과를 보인 연구자에게 연구성과의 고도화와

혁신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

기초연구 ‘24년 종료 및 ’25년 종료예정 연구자

(중견유형1·2, 우수신진)

※ ‘24년 중견 및 신진 후속신규사업 신청자는 신청 불가

3년

(유형2) 연 4억원 내외

(유형1) 연 2.5억원 내외

한우물파기기초연구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여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

박사학위 취득 후 15년 이내인,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

비전임) 및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연구원

10년
(5+5)

연 2억원 내외

우수신진연구

신진연구자의 창의적 연구 의욕 고취 및 연구역량

극대화를 통해 우수 연구인력으로 양성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국내대학 이공분야 전임교원 및 국(공)립‧정부출연‧

민간연구소의 정규직 연구원

※ 최초 조교수 이상의 직위로 임용된 지 5년 이내인 국내대학 소속 전임교원은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가 아니더라도 신청 가능

1~3년

4년(3+1)

5년(3+2)

연 2.5억원 내외

(글로벌 협력 시

최대 0.5억원 추가지원)

우수신진연구(씨앗연구)

신진연구자의 연구 기반 확충 및 수월성 배양을 위한

창의적 연구 지원

1년

연 1억원 내외

신진연구자인프라 지원

신진연구자의 핵심 인프라 등 연구실 조기 구축을 통해

연구 초기부터 도전적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국내대학 이공분야 전임교원

※ 최초 조교수 이상의 직위로 임용된 지 5년 이내인 국내대학 소속 전임교원은

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가 아니더라도 신청 가능

※ ‘24년도 기수혜자 및 외국 국적 소지자 신청 불가

1년

연 1~5억원

 




국내 트랙

박사후연구원 등 젊은 과학자가 원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핵심과학기술 인재로 성장‧정착할 수 있도록 

펠로우십을 통한 연구 몰입 장려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대학 이공분야 전임교원이 아닌

연구자 또는 국(공)립‧정부출연‧

민간연구소의 비정규직 연구원

※ 외국 국적 소지자 신청 불가

5년
(3+2)

연 1.3억원 내외

국외 연수트랙

우수한 박사후연구자가 국가전략기술 분야* 핵심인재로

성장하여 국가경쟁력 확보의 원천이 될 수 있도록 국외연수 지원

* ① 반도체·디스플레이, ② 이차전지, ③ 첨단 모빌리티, ④ 차세대 원자력,

⑤ 첨단 바이오, ⑥ 우주항공·해양, ⑦ 수소, ⑧ 사이버보안, ⑨ 인공지능,

⑩ 차세대 통신, ⑪ 첨단로봇·제조, ⑫ 양자

국내대학 박사학위

취득자 중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1년

연 0.7억원
(인건비, 정액 지원)

(간접비 별도)

글로벌 매칭형

가치를 공유하는 기초연구 선진국과의

공동예산지원(bilateral)을 통한 국제공동연구과제 지원

협력국(기관)에 따라 별도 적용

최대 3년

연 2억원 내외

개척연구

기존의 연구 수행이 많이 이루어진 영역보다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새로운 개념 발견 및 정립 등 개척형 연구 수행을 지원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원

1~3년

연 1억원 내외

국가아젠다기초연구

12대 국가전략기술 및 미래 유망 분야 등

국가·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기초연구 지원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원

1~3년

연 2억원 내외

기본연구

이공학분야 개인기초연구를 폭넓게 지원하여

연구기반을 확대하고 국가 연구역량 제고

대학 이공분야 전임교원 및
국(공)립‧정부출연‧민간연구소의 연구원

1~3년

연 0.5~0.8억원 내외

생애첫연구

연구역량을 갖춘 신진연구자의 연구 기회 확대 및

조기 연구 정착 유도

개인기초연구사업 수혜 경험이 없는 대학 이공분야

전임교원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

1~3년

연 0.3억원 내외
(간접비 별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사업(집단연구)

사 업명

사업 목적 및 특성

지원 대상

연구기간

연간 연구비

(간접비 포함)

글로벌

선도연구
센터

이학분야

(SRC, Science Research Center)

우수한 이학 분야의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새로운 이론 형성,

과학적 난제 해결 등 국가 기초연구역량 강화

이공계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자 8인 이상 연구그룹

7년

(4+3)

연 16.5억원 이내

공학분야

(ERC, Engineering Research Center)

우수한 공학 분야의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원천·응용연구 연계가

가능한 기초연구 성과 창출 및 대학 내 산학협력의 거점 역할 수행

이공계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자 8인 이상 연구그룹

7년 이내

(자율 설정)

연 20억원 이내

기초의과학분야
(MRC, Medical Research Center)

의·치의·한의·약학 분야의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사람의

생명현상과 질병 기전 규명 등 국가 바이오·건강분야 

연구역량 강화

기초의과학(의‧치의‧한의‧약학)분야 대학원이

설치·운영되고 있는 대학의 연구자 8인 이상 연구그룹

7년

(4+3)

연 15억원 이내

융합분야

(CRC, Convergence Research Center)

초학제간 융합연구 그룹 육성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제,

국민 요구 등 신개념의 창의적 결과물, 세계 수준의 신지식 창출

이공계 및 인문/사회/예술 분야 등의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자 10인 내외 연구그룹

7년

(2+2+3)

연 15억원 이내

지역혁신분야

(RLRC, Regional Leading Research Center)

지역혁신분야 연구 그룹 육성을 통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자생적 혁신성장 기반 마련 및 지역 연구역량 강화

이공계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대학의

연구자 8인 이내 연구그룹

7년

(4+3)

연 15억원 이내

혁신분야

(IRC, Innovation Research Center)

우수한 전략기술 분야 연구그룹 육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연구역량을 축적하고, 대학 내 산학연 협력의 거점 역할 수행 및

세계 수준의 연구성과 창출

이공계분야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연구그룹으로

동일대학 소속 연구자 13명 내외로 구성

10년

(3+4+3)

연 50억원 이내

국가연구소

(NRL2.0, National Research Laboratory)

대학의 우수 연구 인력, 장비 등 인프라를 활용해 미래 핵심기술 분야의 혁신적 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으로 국가 성장 견인

대학부설연구소

10년

(3+4+3)

연 50억원 이내

글로벌
기초연구실

심화형

기존 연구를 심화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구를 지원해

소규모 연구집단 체계적 육성

이공계 대학의 전임교원이 포함된 3~4인의 연구그룹

3년 이내

연 5억원 이내

개척형

국내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분야의 창의적·도전적

연구 지원을 통해 역량 있는 젊은 연구자의 성장 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사업(기초연구기반구축)

사 업명

사업 목적 및 특성

연구기간

연간 연구비

(간접비 포함)

기초연구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구축

첨단 연구 장비, 거대 관측 장비 및 모의실험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실험데이터의 공유·분석 환경 및 컴퓨팅 인프라 지원

3년

(계속)

38억원 내외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협력

CERN 연구소의 검출기 실험 및 이론 물리 연구에 참여하고 대형 검출기(CMS, ALICE) 내 주요 장치를 공동 개발하는 등

국제협력을 통해 국내 기초과학 역량 확보

3년

(계속)

CMS 57억원 내외

ALICE 27억원 내외

이론물리 6억원 내외

해외대형연구시설활용연구지원

국내에 없거나 성능이 우월한 해외 최첨단 대형연구시설에 대한 국내 연구진의 접근성 향상으로 국제교류 및

선진 실험기법 습득 기회를 제공하여 연구역량 향상 및 우수성과 창출

3년

연 1~2억원 내외

 

  •  ○ 교육부 소관 사업(이공분야학술연구)

사업명

사업 목적 및 특성

지원 대상

지원기간

연간 연구비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

국내 대학원 석·박사과정에 전업(full-time)으로

재학 중인 자에 대해 학위논문 연구를 위한 연구비 지원

석사과정생(학석사/석박사통합 포함)

※ 대한민국 국적자

1년

0.12억원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

박사과정생(석박사 통합/수료생 포함)

※ 대한민국 국적자

1~2년

0.25억원

박사후국내연수

박사후연구원이 국내 또는 해외 대학·연구소에서

연구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비 지원

국내·외 대학에서 박사학위취득 후 5년 이내인 자

※ 대한민국 국적자

1~3년

0.6억원

박사후국외연수

1년

포닥성장형

공동연구

공동

박사후연구원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역량을 제고하고

장하면서 혁신적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박사후연구원(대학 소속, 전임교원 제외)

※ 연구개시일 기준 박사학위 취득 7년 이내 또는 39세 이하,

연구책임자는 대한민국 국적자

3년

3억원

단독

0.7억원

비전임

비전임교원(대학 소속)

※ 정년퇴직자는 신청대상에서 제외, 대한민국 국적자

1억원

 

대학중점

연구소

대학중점연구소

선정된 이공분야 대학부설연구소에 최대 9년동안

연구비를 지원하여 신진 연구인력에 지속적인 연구환경 제공

KCI에 등록된 대학부설연구소

9년
(3+3+3)

(일반) 7억원 이내

(자율) 11억원 이내

글로컬랩

대학 연구소가 지역(수도권 포함) 기초 연구의 거점으로서

지역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

(거점) 15억원 내외

(컨소시엄) 24억원내외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

핵심연구지원센터

① 대학 내 산재된 연구장비를 집적·공동활용할 수 있는

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

② 공동연구 활성화 지원 지속 추진

(신규) 대학부설연구소/공동실험실습관

※ 4대 과기원 제외

(후속) 핵심연구지원센터(과제 종료 후 2년차 이하)

(신규) 6년

(3+3)

(후속) 3년

(신규) 4.5억원 내외

 

(후속) 3억원 내외

공동연구활성화

핵심연구지원센터(선정 2년차 이상)

3년

0.9억원 이내

(시범)거점

네트워크구축

우수 핵심연구지원센터, 인프라고도화 시설을 연구 거점으로

지정하여 R&D시설‧장비 기반으로 협력네트워크를

구축‧운영하는 시범사업 추진

핵심연구지원센터, 인프라 고도화 시설

5년

(3+2)

1.5억원 내외

인프라고도화

대학이 연구거점으로서 글로벌 수준의 혁신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첨단R&D 장비 도입 및 전담운영인력 육성・운영 지원

핵심연구지원센터, 대학부설연구소, 대학공동실험실습관

※ 4대 과기원 제외

5년

(3+2)

(장비) 50억원 내외

(운영) 5억원 내외

국가연구소(NRL2.0)

대학의 우수 연구 인력, 장비 등 인프라를 활용해 미래 핵심

기술 분야의 혁신적 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으로 국가 성장 견인

대학부설연구소

10년

(3+4+3)

연 50억원 이내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대학 내 연구전담 계층의 독립적· 안정적 연구 지원

대학 연구자(비전임교원, 박사후연구원)

1~3년

0.7억원 이내

보호연구

기초학문의 다양성 보호 및 균형성 유지를 위해 보호·육성이

필요한 분야 지원

대학 연구자(전임·비전임교원, 박사후연구원)

5년

(3+2)

(공동) 3억원 이내

(단독) 1억원 이내

지역대학우수과학자

지역대학의 우수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비 지원

지역대학 연구자(전임·비전임 교원, 박사후연구원)

3~10년
(6년 이상 :

3+3+4이내)

0.5억원 이내

학제간융합

융합연구 지원으로 미래선도형 연구지원 및

미래융합 인재양성 지원

대학전임교원(연구책임자는 이공학 분야)

3년

3억원 이내

미래도전연구지원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수 있는 도전적이고 잠재력이 풍부하며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협력‧다학제 연구 지원

대학 연구자 (전임·비전임교원, 박사후연구원)

5년

(3+2)

2억원 이내

글로컬R&D 지원

지역발전을 뒷받침하고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비수도권 대학 소속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수행 지원

지역*대학 연구자(전임·비전임교원, 박사후연구원)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소재 대학, 4대 과기원, POSTEC 제외

3년

1.8억원 이내

개인

기초

기본

연구

기본연구
(’19 과기부로 이관, 계속과제만 지원)

연구저변 확대, 연구단절 방지를 위한 소액 연구비 장기간 지원

대학 전임·비전임 교원, 공공·민간 연구소 연구원

1∼10년

0.4억원 이내

 

(신규과제 사업별) 문의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사업

구 분

담 당 부 서

연 락 처

개인연구

글로벌 리더연구

한국연구재단(NRF) 개인연구지원팀

042-869-6813

중견연구

유형2(글로벌형)

042-869-6809

유형1

042-869-6809

창의연구형

042-869-6805

도약형

042-869-6806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042-869-6806

신진연구

우수신진연구

042-869-6803

우수신진연구(씨앗연구)

042-869-6803

세종과학

펠로우십

국내트랙

042-869-6808

국외연수트랙

042-869-6814

개척연구

042-869-6814

국가아젠다기초연구

042-869-6808

글로벌 매칭형

독일(DFG)

한국연구재단(NRF) 국제교류팀

02-3460-5681

영국(Royal Society)

한국연구재단(NRF) 구주아프리카협력팀

02-3460-5723

집단연구

글로벌 선도연구센터

한국연구재단(NRF) 집단연구지원팀

042-869-6826

국가연구소(NRL2.0)

042-869-6821

글로벌 기초연구실

042-869-6825

개인연구

(시설장비)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NFEC) 기초인프라실

042-865-3972, 3481, 3484

 

○ 교육부 소관 사업

구 분

담 당 부 서

연 락 처

학문후속세대지원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

한국연구재단(NRF) 이공학술지원팀

042-869-6619, 6621, 6622, 6623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

박사후국내연수

박사후국외연수

포닥성장형공동연구

대학연구기반구축

글로컬랩

학술연구혁신지원

보호연구

미래도전연구지원

글로컬R&D지원

·

콘텐츠 관리

  • 담당부서
    기초연구총괄실
  • 담당자
    송지영
  • 전화번호
    042-869-6334
콘텐츠 만족도평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5점 4점 3점 2점 1점

한국연구재단